본문 바로가기
반려식물

밤에도 숨 쉬는 식물, 산세베리아 이야기🌱이름의 비밀

by 집요정의 굿노션 2025. 8. 11.
반응형

산세베리아
산세베리아

아침 햇살이 부엌 창가로 들어올 때, 창문 옆에 서 있는 산세베리아 잎이 빛을 머금고 고개를 살짝 들었어요.
물도, 비료도 거의 주지 않아도 꿋꿋하게 서 있는 그 모습에 저는 종종 ‘집 지키는 초록 경비원’ 같다고 느낍니다.

혹시 여러분 집에도 이 친구 있나요?
이사 선물, 개업 선물, 심지어 병문안 선물로까지 사랑받는 식물, 바로 산세베리아입니다.

식물 정보 🌱

이름: 산세베리아(Sansevieria)
학명: Dracaena trifasciata (예전 학명: Sansevieria trifasciata)
별명: 뱀식물(Snake Plant), 어머니의 혀(Mother-in-law's tongue)
특징: 길고 단단한 잎에 초록과 노란색 줄무늬가 있는 것이 매력 포인트. 잎 모양이 뱀 비늘처럼 보여서 ‘Snake Plant’라는 이름이 붙었어요.


관리법

  • 물: 흙이 완전히 마른 후 듬뿍 주기 (겨울엔 한 달에 한 번 정도)
  • 빛: 반그늘~밝은 곳 모두 OK (직사광선은 피하세요)
  • 온도: 15~30℃에서 잘 자람
  • 분갈이: 2~3년에 한 번 정도
  • 독성: 반려동물이 먹으면 배탈을 일으킬 수 있어요.
  • 꿀팁: 통풍이 잘 되는 곳에 두면 잎이 더 힘차게 자라고, 너무 과습하지 않게 하는 것이 핵심!

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,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.


산세베리아 꽃🌸

산세베리아 꽃 일러스트

혹시 산세베리아에 꽃이 피는 걸 본 적 있으신가요?
대부분의 사람들은 ‘산세베리아에 꽃이 있다고?’라며 놀랍니다.
왜냐하면 이 친구는 아주 드물게 꽃을 피우거든요.

꽃은 길게 뻗은 줄기 끝에 작은 백색 꽃송이들이 촘촘히 달리고,
밤이 되면 은은한 달콤한 향기를 풍깁니다.
그 향은 마치 바닐라와 백합이 섞인 듯 부드럽고 고요해요.

그런데 산세베리아 꽃은 환경이 아주 편안할 때만 모습을 드러냅니다.
햇볕, 물, 통풍이 모두 적당하고, 뿌리가 화분 안에 꽉 차 있을 때
“이제 내가 정말 행복하다”라는 신호처럼 꽃대를 올리는 거죠.

또 한 가지 재미있는 사실은, 꽃대 끝에서 작은 꿀방울이 맺히기도 한다는 거예요.
이 꿀방울은 빛을 받아 반짝이고, 맛은 약간 달콤합니다(하지만 먹지는 마세요 😆).

산세베리아 꽃을 본다는 건, 마치 오랫동안 함께한 반려식물이
여러분에게 보내는 감사의 편지를 받는 것과 같아요.
그래서 식물 애호가들 사이에서는 ‘행운의 꽃’이라고도 불립니다.


산세베리아 이름 속에 숨은 두 왕자의 이야기 이야기💡

산세베리아라는 이름 뒤에는 조금은 드라마틱한 역사가 숨어있어요.
1787년, 식물학자 비첸초 페타냐는
나폴리 근처의 귀족이자 후원자였던 피에트로 안토니오 산세베리노 백작을 기리기 위해
‘산세베리니아(Sanseverinia)’라는 이름을 제안했죠.

그런데 몇 년 뒤인 1794년,
스웨덴 식물학자 칼 페테르 툰베리가 이 식물을 기록하면서
이름을 ‘산세베리아(Sansevieria)’로 써버립니다.

여기서 흥미로운 건, 툰베리가 기념하려 한 인물이 전혀 다른 사람이었다는 사실이에요.
그 주인공은 바로 라이몬도 디 산그로(Raimondo di Sangro),
나폴리의 ‘산 세베로(San Severo) 왕자’였습니다.

왜 이름이 이렇게 뒤섞였을까요?
학자들 사이에서는 ‘단순한 철자 실수였을까,
아니면 의도적인 작명이었을까?’라는 추측이 오갑니다.

어찌 되었든, 지금 우리가 부르는 산세베리아라는 이름은 결국
산 세베로 왕자를 기리는 공식 명칭으로 자리 잡게 되었죠.

이렇게 생각하면, 여러분이 집에서 키우는 산세베리아 한 화분은
무려 두 명의 이탈리아 귀족이 얽힌 이름의 역사를 품고 있는 식물인 셈이에요


산세베리아는 NASA에서 선정한 최고의 공기정화 식물 중 하나예요.
특히 밤에도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배출하는 독특한 식물이라 침실에 두면 좋죠.
(마치 ‘밤샘 근무하는 공기 청소기’ 같아요 😆)

또한 한국에서는 금전운과 장수를 상징해 개업식이나 집들이 선물로 인기가 많아요.
심지어 잎 모양이 위로 쭉 뻗어 있는 것이 기운이 솟아오르는 모습 같아 풍수적으로도 길한 식물로 여겨집니다.

산세베리아는 ‘키우기 어려워서 죽었다’는 이야기를 듣기 힘든 식물이에요.
물주기, 햇빛, 온도… 모두 관대해서 초보자도 부담 없이 시작할 수 있죠.

여러분 집 한켠에 조용히 서서 공기를 맑게 해주는 초록 친구, 하나 들여보는 건 어떨까요?

반응형

댓글